팀 세미나 자료들을 한번 쓰고 버려두긴 아까워서 슬라이드쉐어에 올리고 블로그에 링크를 한번 걸어본다. [slideshare id=34117601&doc=amazonvirtualprivatecloudvpc-140430034023-phpapp02]

좀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내가 뭘 할 수 있을까? 많은 생각이 드는 주말이었다. 블로그에 분한 마음을 풀어 보려다가, 이건 아니다 싶어 지우기를 몇 번 반복했다. 세월호 사건은 단순 개인의 잘못이 아님이 분명하다. 아니 개인의 잘못도 있었지만, 우리 사회가 만들어 놓은 시스템 중 단 하나만 정상 동작했다면, 아이들을 비롯한 많은...

세월호 사건으로 온 나라가 뒤숭숭한데 나는 감기까지 걸려 낫질 않는구나. 우울함에 기운 없음이 더해진 상태. 회사 업무들은 잡아먹을 듯 덤벼들고, 이리 저리 치이다 보니 나 스스로를 자꾸 놓아 버리게 되는 것 같다. 관리에 들어가자. 세상이 험하게 돌아간다고해서 바뀌는 건 없다. 문제점을 찾고 계획을 세우고 실행한다. 자주 돌아 보고 진로를 바로...

그냥 가만히 있는 다고 개발자가 생길 것 같진 않고, 매일 특정 액션을 통해 할 수 있는 방법으로 바꿔야 될 것 같다. 상상 속에 있는 인재상을 구체화시켜서 해당 세그먼트를 찾아 갈 수 있도록 방향을 잡는게 중요할 듯 하고.. 더불어서 팀의 개발문화를 홍보 할 수 있는 방법도 같이 고민해야 될 듯.

어떻게 살 것인가 -  유시민 지음/생각의길 이젠 글쓰는 사람으로 돌아온 유시민 전의원의 책을 한번 사서 읽어 봤다. 요즘 하도 책을 안 읽다 보게 된 거라 그런지 술술 잘 읽혔다. 글을 부드럽게 잘 읽히도록 써서 그런 것일테지. 노무현 전대통령의 죽음 후, 한 동안 칩거하다 다시 방송에 모습을 드러낸 유시민씨를 보고 적잖이 놀랐던...

필요한 일들을 적시에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문장에서 강조해야 하는 부분은 '필요한' 이 아니라 '적시에' 이다. 그럼 여러 문제해결책 중 어떤 것이 '적시' 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문제 해결책에 대한 속성을 검증하려면 그 해결책이 대상으로 하는 문제에 대해 같은 질문을 던져보면 된다. 기술 개발을 통해 접근하고자 하는 문제의 실체에...

회사는 성장에 따른 자기조직화의 진통을 겪고 있다. 조직이 진화할 때 명심해야 될 것은 팀원들의 단점을 보완하는 것이 아니라, 장점으로 단점을 덮어야 된다는 것이다. 못하는 일을 잘하려고 하는 것보다 잘하는 일을 더 잘하도록 집중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인 자기 조직화를 이뤄낼 수 있다. 아무래도 주중 전일 출근은 나에겐 무리다. 짧지 않은 출퇴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