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Image
read

패턴 이름

트집쟁이 패턴

패턴 설명

개발 결과물에서 중요하지 않은 사소한 부분에 과도하게 집착하여 문제를 제기하고, 그로 인해 개발 방향이 불필요하게 복잡해지거나 운용 비용이 증가하는 패턴이다. 정작 도입 후에는 자신이 문제 삼았던 부분은 잊은 채, 결과물의 복잡성이나 불편함을 지적하며 사용을 거부하거나 불만을 토로한다. 이는 개발팀의 사기를 저하시키고 프로젝트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한다.

패턴 증상

개발 단계

  • 회의 중 사소한 UI 요소, 용어, 또는 기능의 동작 방식에 대해 과도하게 상세한 질문이나 변경 요구를 반복한다.
  • 전체적인 시스템 아키텍처나 핵심 기능보다는 주변적인 요소에 집중하여 논의를 장시간 끌고 간다.
  • 자신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으면 불만을 표현하거나 비협조적인 태도를 보인다.
  • 요구 사항 변경의 영향에 대한 충분한 이해 없이 즉흥적인 변경을 요구한다.
  • 이러한 요구 사항들이 누적되어 설계의 복잡성을 증가시키고 개발 일정을 지연시킨다.

도입 단계

  • 자신이 과거에 주장했던 사항으로 인해 시스템이 복잡해졌음에도 불구하고, 결과물의 복잡성이나 사용의 불편함을 지적한다.
  • 시스템 사용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며, 과거의 자신의 요구 사항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거나 기억하지 못하는 척한다.
  • 새로운 시스템에 대한 불만만 강조하며, 기존 시스템에 대한 향수를 표현하거나 새로운 시스템의 도입 자체를 후회하는 모습을 보인다.
  • 심한 경우, 시스템 사용을 거부하거나 최소한의 사용만을 고집하며, 시스템 도입 효과를 저해한다.

패턴 원인

  • 불안감 및 통제 욕구: 프로젝트의 전체적인 그림을 이해하기 어려워 느끼는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자신이 이해하기 쉬운 작은 부분에 집중하고 통제하려 한다.
  • 전문성에 대한 과시 욕구: 개발 지식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사소한 부분에 대한 지적을 통해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내거나 전문적인 의견을 제시하려는 시도이다.
  • 의사 결정 회피: 프로젝트의 중요한 결정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사소한 문제에 집중하여 논의의 초점을 흐린다.
  • 기억 왜곡 또는 책임 전가: 결과물의 문제점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과거 자신의 요구 사항을 망각하거나 개발팀의 잘못으로 책임을 전가하려는 심리이다.
  • 소통 부족: 개발팀과 의뢰자 간의 충분한 소통 없이 진행되어, 의뢰자의 우려나 오해가 사소한 트집으로 표출될 수 있다.

패턴 해결

  • 초기 단계부터 명확한 요구 사항 정의 및 합의: 프로젝트 시작 시 의뢰자와 충분한 논의를 거쳐 구체적이고 명확한 요구 사항을 정의하고 문서화한다. 변경 사항 발생 시 영향 분석 및 승인 절차를 명확히 한다.
  • 정기적인 의사소통 및 피드백 공유: 개발 과정 전반에 걸쳐 의뢰자와 정기적인 미팅을 통해 진행 상황을 공유하고 피드백을 받는다. 시각적인 자료(데모, 프로토타입 등)를 활용하여 이해도를 높인다.
  • 요구 사항의 우선순위 및 영향도 명확화: 모든 요구 사항에 대해 우선순위를 매기고, 각 요구 사항이 전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복잡성, 비용, 일정 등)을 명확하게 설명한다.
  • 기록의 중요성 강조 및 공유: 회의록, 결정 사항, 변경 요청 내역 등을 상세하게 기록하고 의뢰자와 공유하여 추후 발생할 수 있는 오해를 방지한다.
  • 전문적인 권위 유지: 사소한 트집에 일일이 휘둘리지 않고, 개발 전문가로서의 판단과 원칙을 유지하며 논리적으로 설명한다.
  • 도입 전 충분한 교육 및 검증: 시스템 도입 전에 의뢰자에게 충분한 교육을 제공하고, 함께 검증 과정을 거쳐 사용상의 어려움을 최소화한다.
  • 문제 발생 시 책임 소재 명확화: 시스템 도입 후 문제 발생 시, 과거의 기록을 바탕으로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고 합리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트집쟁이 패턴에 대한 대응책은 기록과 문서 기반의 업무 처리 이다. 같은 회사 내부라 하더라도 정확한 기록을 남기고, 미팅에서는 상대방의 의도를 명확히 하는 질문을 통해 의사기록을 확실히 작성한다.

결론

트집쟁이 패턴은 조종자 패턴의 전조증상일 수 있으니, 미리 점검하여 대비하는 것이 좋다. 둘의 해결책도 유사하다. 이 패턴을 인식하고, 초기 단계부터 명확한 커뮤니케이션과 기록 관리를 통해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이러한 패턴이 발생하더라도,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단호하고 일관된 태도로 대처하도록 한다.

Blog Logo

Ki Sung Bae


Published

Image

Gsong's Blog

Developer + Entrepreneur = Entreveloper

Back to Over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