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Image
read

패턴 이름

독재자 패턴

설명

조종자 패턴의 발전된 형태이다. 조종자 패턴이 권력을 가지게 되면 이 상태로 발전될 가능성이 크다. 독재자 패턴의 주요 증상은 자신의 권력을 팀원에게 위임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권력을 독점함으로써만 통제할 수 있다고 믿는다. 이 패턴의 구체적인 증상들은 다음과 같다.

  • 절대적인 권위 주장: 모든 의사 결정을 독단적으로 내리고, 다른 의견을 무시하거나 묵살함.
  • 정보 독점: 정보를 개인적으로 소유하고,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지 않으며, 의사 결정 과정에 다른 사람들을 참여시키지 않음.
  • 비난과 책임 전가: 문제 발생 시 다른 사람에게 책임을 전가하고, 비난함.
  • 변화에 대한 저항: 새로운 아이디어나 방법론을 받아들이지 않고, 기존 방식을 고수하려함.
  • 개인주의적 성향: 팀의 목표보다는 개인의 이익을 우선시하고, 협업을 거부함.

보통 조직 내에 남아 있는 독재자 패턴은 ‘생존한’ 독재자 패턴이고 이는 권력 쟁취에 성공했다는 이야기이다. 그러므로 독재자 패턴은 반드시 조직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친다. 조직이 이 패턴으로 인해 받게 되는 문제들은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다.

  • 생산성 저하: 팀원들의 창의성과 잠재력을 억누르고, 의사 결정 속도를 늦춰 생산성이 저하됨
  • 팀워크 저하: 팀원들 간의 신뢰 관계가 무너지고, 소통이 단절되어 팀워크가 저하됨
  • 프로젝트 실패 가능성 증가: 프로젝트 계획 단계에서 다양한 의견 수렴 없이 진행되다 보니 실패할 가능성이 높아짐
  • 조직 문화 악화: 독재적인 리더십은 조직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직원들의 이직률 증가 등의 문제 야기

이 패턴은 최종적으로 조직을 붕괴시키거나, 아니면 이직할 곳이 없으나 순종적인 저성과자들로 조직을 채우게 된다.

원인

독재자 패턴도 개인의 성향에 기반한 문제이기 때문에 개인적 원인들이 더 많다. 강한 자존심으로 인한 리더쉽에 대한 과도한 욕구가 문제의 바탕을 이룬다. 그리고 이 리더쉽 상실에 대한 두려움이 크며 상실 불안감을 극복하기 위해 자신이 모든 걸 통제하려 들게 되는 것이다.

독재자 패턴을 방지하는 것은 조직 문화를 만들어 예방하는 것이 제일이다. 조직이 일하는 문화가 단단히 자리 잡은 곳은 일개 개인을 넘어선 집단의 원칙이 존재하므로 독재자 패턴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특정 개인을 변화시키는 일은 쉽지 않은데다 이미 독재자 패턴으로 확인된 사람이라면 조직내 상당한 권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단번에 해결이 불가능하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독재자의 권력을 무효화할 수 있는 문화적 장치를 만들어 가는 것이다.

해결

이러한 환경 구축을 위해 조직 입장에서 필요한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 소통 강화: 조직 내에 정보 비대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업무와 관련된 정보는 원하는 사람 누구나 접근 가능하도록 관리되어야 한다. 특정 개인이 조직의 정보를 독점하지 않도록 예방한다. 팀원간 주기적인 업무 진행 상황 공유, 공통 문서 및 이슈 관리 시스템 등을 활용한다.
  • 역할 분담: 불명확한 역할과 책임: 팀원들의 RoR 을 명확히 한다. 각 팀원들에게 책임감과 역할범위에 따른 자율적인 의사 결정을 맡겨 리더의 권한을 분산시킨다.
  • 의사 결정 시스템: 최종 의사 결정은 조직의 결정권자가 하더라도 그 전에 의사결정에 관여하는 팀원들의 그룹에 관련 주제를 논의할 수 있어야 한다.
  • 코칭 및 교육: 리더에게 리더십 교육을 제공하고, 팀원들에게 효과적인 협업 방법을 교육한다.

조직 문화를 만드는 일은 아주 긴 시간이 걸리는 작업이며, 한번에 해결할 수 없다. 약한 불로 끓이는 솥 처럼 하나씩 점진적으로 해나가다보면 어느 순간부터 영향을 발휘하게 된다. 이보다 더 빠른 방법은 보다 상위의 권력을 가진 사람으로 하여금 독재자를 제거해달라고 하는 것이나, 당장의 그 빈 자리를 채울 수 있는 대안이 없다면 이것도 현실적인 해결책이 아니다.

Blog Logo

Ki Sung Bae


Published

Image

Gsong's Blog

Developer + Entrepreneur = Entreveloper

Back to Over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