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d

낭비를 줄이는 거. 작업한 일이 버려지지 않도록 하는 거. 소프트웨어 회사를 가정했을 때, 투입되는 비용은 인건비가 전부요. 나오는 결과물은 고객의 문제 해결 이라고 한다면, 개발팀의 몫은 이 둘을 튼튼히 잇는 것이다. (개발인력) - (솔루션) - (문제) - (고객) 이렇게 4개의 스테이지로 나눠본다면, 개발팀은 솔루션 쪽에 영업팀은 고객 쪽에서 출발해서 가교를 잇는 작업을 하는 것이겠다. 이 작업을 위해 각자 전문성을 띤 사람들이 모여서 하나씩 널판지를 놓고 이어가게 되는데, 때로 비전문가가 끼어 있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리고 그 지점이 문제가 된다.

어쩌면 내가 커뮤니케이션을 많이 못하고 있었던 건지 모른다. 나름대로 단정했던 명제들이 사실 그렇지 않은 이면을 가지고 있었다면? 팀의 불안은 그런 데서 만들어지는 걸 수도 있다. 일에 치인다는 핑계로 정작 해야 할 일들을 너무 뒤로 미루고 있었던 걸까 하는 반성이 든다.

비전에 대해서 동의를 하고 나면, 실행에 대한 계획을 세우는 일로 들어간다. 이때의 실행 계획은 크게 두 종류로 나뉘는데, 하나는 이상적으로 흘러 갔을 때 도착해야 할 유토피아에 대한 구체적 접근이고, 또 하나는 당장 내일부터 무엇을 어떻게 해 나갈 것인가 하는 현실에 대한 단계별 접근이다. 앞서 언급한 가교를 놓는 작업이란 이 둘 사이에서 적절한 합의점을 찾아내는 일에 다름 아니다. 하지만 뭐든 그렇지만 말이 쉽지, 직접 실행하는 건 다른 영역이다.

스타트업의 초기 멤버들은 시간이라는 자원을 언제 어떻게 투입하느냐 결정해야 한다. 투자의 대상은 회사이다. 이 시간 자원이라는 게 여러 형태로 나타날 수 있는데, 단순 업무 시간은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시간을 들여 쌓아온 인맥이라든가, 아이디어라든가, 경험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 투자에서 발생하는 리스크가 있다면 소모된 걸 즉시 회수할 수 없다는 거. 한번 투자가 이뤄지면, 다른 형태로 돌려받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이고. 투자를 하지 않았을 때 단점은 감가상각이 적지 않아 꾸준히 관리를 해나가야 하는 자원이라는 점이다.

그러므로 가장 좋은 것은 자신이 가진 자원을 모두 투입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맞게 리스크를 줄여 줄 수 있는 여러 방안들을 구체화 시켜 놓는 작업이다. 그리고 새로운 자원들은 스타트업의 성장과 함께 다시 발굴되는 것이 베스트일 텐데, 여러가지 이유로 이렇게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Blog Logo

Ki Sung Bae


Published

Image

Gsong's Blog

Developer + Entrepreneur = Entreveloper

Back to Overview